[기자] <br /> <br />[열린공감TV : 윤석열 후보가 '멸공'을 했고, 최재형도 '멸공'했지만 제가 봤을 때는 그쪽은 '콩가루' 같아요.] <br /> <br />[가로세로연구소 : 왜 김건희 7시간 통화내용을 '충격 단독'으로 전하냐. 이게 심각한 게 아니거든요. 좌파들은 마치 심각한 게 나온 것처럼 하니까.] <br /> <br />20대 대선을 앞두고, 특정 정치 성향을 드러낸 유튜브 채널의 구독자 수가 크게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대선 후보들이 출마 선언을 하기 직전인 6월 초부터 최근까지, <br /> <br />진보 성향 유튜브 채널, '열린공감TV'의 구독자 수는 22만여 명에서 75만 명대로 3배 넘게 급증했습니다. <br /> <br />보수 성향 '가로세로연구소'도 66만 명에서 28% 정도 늘어난 84만여 명의 구독자를 확보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구독자 수가 늘었다는 건 그만큼 영향력도 커졌다는 의미일 텐데요, <br /> <br />유튜브는 유권자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을까요? <br /> <br />지난 2019년, 진보와 보수를 대변하는 유튜브 채널의 시청자를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됐습니다. <br /> <br />우선 유튜브 시청자들은 진보 진영을 더 진보적으로, 보수 진영을 더 보수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여야 양대 정당 간의 거리를 더 멀게 느끼고 있었는데요, <br /> <br />특정 성향의 채널만 보는 쪽과 그렇지 않은 쪽의 정치적 양극화 정도를 분석해봤더니, <br /> <br />진보든 보수든, 자기 성향의 유튜브 채널만 본 유권자들은 양쪽 채널을 다 본 유권자에 비해 양극화 정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편향적 유튜브 시청을 통해, 상대 진영과 내가 이념적으로 더 멀리 떨어진 것처럼 느끼게 됐다는 뜻입니다. <br /> <br />[유튜브 시청자 : 속 시원하게 얘기를 하니까. 좀 지나친 것도 있지만, 대리만족하니까 보는 거지.] <br /> <br />[양정숙 / 유튜브 시청자 : TV에서는 큰 그림만 나오고 유튜브는 우리가 몰랐던 부분, 소소한 부분도 우리가 좀 알고 싶잖아.] <br /> <br />[이재혁 / 유튜브 비시청자 : 갈등을 조장하고 싸움을 붙이는 것 같아서, 한쪽만 봐서는 자꾸 편 가르기만 되는 것 아닌가.] <br /> <br />[장승진 / 국민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: 생각이 다른 사람들과의 건전한 대화와 토론을 어렵게 만든다는 점에서 분명히 안 좋은 측면이 있죠. 다른 성향의 채널들을 의식적으로 한 번씩 가서 보는 노력이 유권자 차원에서 필요하고….] <br /> <br />정치 양극화의 이면에는 유튜브 알고리즘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당신의 시청 내역이나 검색 기록을 토대로 좋아할 만한 영... (중략)<br /><br />YTN 신지원 (jiwonsh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20216044652729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